네트워크

영구 리다이렉트 응답코드 301, 308

린예라 2024. 10. 21. 20:20

우리가 웹페이지에 요청을 할 때, 서버는 그에 대한 답변으로 응답코드를 내놓는다.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200번대 - 응답성공

300번대 - 클라이언트측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 해당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리다이렉션

400번대 -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측의 오류

500번대 - 응답하는 서버측 오류

 

 

그 중에 300번대의

301 Move Permanently, 308 Permanently Redirect  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리다이렉션이란? - 서버가 해당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해서 다시(re) 보내는 것을 말한다. > 즉 300번대 응답결과에 위치정보가 있으면, 해당 Location헤더(주소 혹은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ex) 회원가입을 눌렀을 때, 회원가입 폼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등.

 

301 Move Permenently

 

uri가 영구적으로 변경되어서, 예전 uri로 접속하면 해당 uri를 바뀐 새로운 uri로 접속하게 해준다. 그리고 검색엔진에서도 uri를 수정하게 해준다. 즉 예전의 uri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하고(영구적으로 uri 변경), 검색엔진에서도 이를 인지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메소드를 get으로 바꾸고, 본문이 날아갈 수도 있다.

 

 

ex)아프리카tv 홈페이지가 전체적으로 바뀌고 개편되서, 이름도 soop으로 바뀌고 주소도 바뀌었다. 이때 아프리카tv의 주소로 접속하게 되면 주소창의 주소가 아프리카tv주소에서 바뀐 soop주소로 바뀌어서 다시 새로 접속되어진다. 결과적으로 이전 아프리카tv의 사이트 주소로 바뀐 사이트 주소의 soop으로 접속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08 Permanently Redirect

 

사실상 301과 기능은 똑같다.

다만 기존의 메소드를 유지시키고(get요청은 get으로, post요청은 post로) 추가적으로 본문도 유지시켜 준다.

ex)폼에 기입중이던 정보등을 유지시켜준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시적인 리다이렉션 응답코드 302, 303, 307  (0) 2024.10.22
쿠키와 세션  (0) 2024.04.22
IP TCP UDP 프로토콜  (0) 2024.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