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운영체제&네트워크

OSI 7계층

린예라 2024. 2. 27. 21:15

컴퓨터간의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한다.(국제표준화기구라는 곳에서 만든 모델)

 

OSI 7계층

1.물리계층

물리계층은 컴퓨터의 디지털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거나(송신할때), 전기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바꿔주고(수신할때) 전기적인 데이터를 직접 보내고 받는 역할을 한다.(인터넷 선 같은거)

2.데이터링크계층

데이터링크계층은 가까운 거리(LAN) 통신에서 신뢰서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  또한 MAC 주소를 부여하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하드웨어쪽 영역↑==================================

 

 

3.네트워크계층

상대컴퓨터가 있는곳 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고,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해주기도 하며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근본적인 계층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크계층에서 사용하는 통신으로는 IP가 있고 이 통신과정에서 사용하는 고유의 주소를 IP주소라고 한다.

 

 

4.전송계층

양 끝단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데이터를 보내기 좋게 쪼개거나, 쪼개져서 온 데이터를 합치는 역할도 맡는다. UDP와 TCP통신도 이 계층에 해당한다.

 

 

 

여기서부터는 소프트웨어쪽 영역↓===============================

5.세션계층

응용프로그램이 통신을 하기위한 세션을 확립/유지/중단 해준다. 더 쉽게 설명하자면 내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는 상대가, 정말로 내가 데이터를 교환하고자 하는 상대인지 확인하고, 맞다면 그것을 허가해주고 작업이 끝나면 끊는 그런 느낌의 일을 해준다.

6.표현계층

우리가 아는 문자(영어라던가 한국어라던가)를 전송하기 위해서 코드값(유니코드나 아스키코드값 같은거)으로 바꿔주거나, 데이터의 암호화, 복호화, 압축등의 일을 해준다.

7.응용계층

우리가 통신에 사용하고자 하는 응용프로그램을 말한다. 크롬이라던가 익스플로러라던가 카카오톡이라던가, 리그오브레전드 같은 게임이라던가 말이다.

'CS > 운영체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 구조  (0) 2024.04.11
메모리 외부단편화 내부단편화  (0) 2024.04.06
스레드(쓰레드)란?  (0) 2024.02.22
인터럽트 동작 과정  (0) 2024.02.20
스케줄링 알고리즘  (0) 2022.04.02